반응형
아메리칸 위스키란?
아메리칸 위스크(american whiskey)는 미국에서 생산되는 위스키를 말하며 원료와 함량에 따라 스트레이트 위스키(straight whiskey, 블렌디드 위스키(blended whiskey)로 구분이 된다. 주원료에 따라서 제조방식, 숙성방식으로 버번위스키(bourbon whiskey), 테네시 위스키(tennessee whiskey), 콘 위스키(corn whiskey), 라이 위스키(rye whiskey)로 구분된다.
아메리칸 위스키 역사
미국에서 17세기부터 증류주를 만들기 시작했는데 당밀이 주원료였다. 이후에는 유럽에서 라이보리를 수입하여 사용하기도 했고 미국산 옥수수 곡물을 주로 하는 위스키를 만든 것이 시초이다. 알코올을 95도 미만으로 증류한 후 오크통에 숙성시킨다. 원료로 옥수수를 51% 이상 함유하여 생산하면 그 유명한 버본위스키가 되며 라이보리 51% 이상 함유하여 생산하면 라이위스키가 된다. 옥수수를 80% 이상 함유하여 생산한 위스키가 콘 위스키로 구분된다.
아메리칸 위스키 종류
종류 | 생산지 | 제조 | 숙성 | 향 |
버번 위스키 | 켄터키 주 | 옥수수 51% 이상 함유하여 2번 증류 | 2년 이상 숙성 | 부드러우면서 풍부한 향 |
테네시 위스키 | 테네시 주 | 혼합 곡물로 2번 증류 | 2년 이상 숙성 | 아주 강한 향으로 특유의 탄 나무 향 |
콘 위스키 | 미국 | 옥수수 80% 이상 함휴하여 2번 증류 | 숙성 기간에 제한없다. | 아주 진한 향 |
라이 위스키 | 펜실베니아 | 혼합 곡물로 호밀 51% 이상 함유하여 1번 또는 여러번 증류 | 2년 이상 숙성 | 진한 향 |
- 버번위스키 : 미국 켄터키주에서 생산하는 위스키로 오크통 안쪽을 불에 태워 숙성시키는 것이 이 위스키의 특징이다.
- 테네시 위스키 : 미국 테네시주에서 생산하는 위스키로 증류한 후 단풍나무 뭋 여과 과정을 거쳐서 생산하기 때문에 버번위스키에 비해 매운 향이 덜하고 특유의 풍미가 가득하다.
- 콘 위스키 : 오크통 안쪽을 불에 태우지 않고 옥수수 원료가 80% 이상이 함유된 증류수를 숙성시킨 위스키가 특징이다.
- 라이 위스키 : 호밀을 주원료로 생산 한 위스키로 호밀이 51% 이상 함유되어야 하며 증류수는 알코올이 80% 이상을 넘어선 안되고 오크통에 숙성될 때에는 알코올이 62.5%를 넘어선 안되고 숙성을 거친 알코올은 40%를 넘어야 하는 규정이 있다.
아메리칸 위스키 규제
아메리칸 위스키에 적용되는 품질 관리 기준인 보틀드 인 본드(Bottled-In-Bond). 위스키의 품질 저하등의 문제점을 예방하기 위한 규제로 품질을 균일화하고 기준이 지켜지면 세금 감면이 되는 혜택이 있다. 규제 조건은 아래와 같다.
- 주원료는 51% 이상 함유되어야 한다.
- 아코올 보륨이 100프로 프로 병입되어야 한다.
- 같은 년도의 증류액을 사용해야 한다.
- 단일 증류소에서 하나의 증류기로만 만들어야 한다.
- 해당 면허를 보유한 증류소만 생산이 가능하다.
반응형